WePlant 2023.06.01 22:34:53
28
  • 게시일
    20230501-02
  • 발표자
    박종암
  • 발표매체
    2023 선교타임즈 5월호
원더풀! 스토리
2차 대회를 기대하며
박종암 선교사
2024 M.콘텐츠 서밋 준비위원장

 


베트남 호치민에서 24개국 선교사들이 “선교 콘텐츠 서밋”으로 뜻 깊은 시간을 함께했다. 원래 처음 의도는 원더풀스토리 국제사역 10주년을 기념하는 모임으로 시작되었지만, 하나님께서는 이번 대회을 통해 “콘텐츠 선교의 새로운 장이 마련되는 기회”로 사용하셨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더욱 소중하다. 원더풀스토리 사역에 동역하면서 하나님의 일하시는 것을 목도한 사람이자 서밋 참가자로서 이번 대회가 가지는 의의와 가치는 무엇일까 생각해 본다.

첫째, 선교 콘테츠 중심

2010년. 베트남의 한인교회의 담당목사로 사역하고 있었던 이상훈 선교사가 기독교 음반을 제작하여 유통하고 있는 나와의 첫 만남에서 던진 질문이다. “사회주의 국가인 베트남에서 기독교 앨범을 정식허가 받고 판매할 수 있습니까? 마침 그 시기에 ”죽임 당하신 어린양(액츠뮤지컬)“ 복음 뮤지컬과 피아노 앤 보컬(은희승) 복음성가 앨범들을 제작하여 현장선교에 활용하고 있던 나에게 원더풀스토리 책은 책 이상의 가치로 마음을 사로잡기에 충분했다. 그 이후 단기선교팀들이 활용할 수 있는 어린이 성경캠프를 통해 책은 베트남의 어린이에게 전달되었고, 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만들어진 원키즈클럽이 선교사들의 협업의 의해 완성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 모든 일은 원더풀스토리 콘텐츠를 통해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이 책은 30개국의 어린이들의 손에 엄마의 마음으로 전달되었다는 점에서 한 권의 스토리 콘텐츠가 선교현장에 얼마나 소중하고 필요한 것인지를 새롭게 발견하는 계기가 되었다.

둘째, 선교사들 간의 협업과 공유

원더풀스토리 책이 베트남에서 시작해서 다른 국가로 그 콘텐츠가 전달되어질 때 “책의 콘텐츠만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베트남 선교사들 간의 공유와 협력”의 사례들이 함께 전달되면 좋겠다고 말했던 GMS 심치형 선교사의 말을 잊을 수 없다. 실제로 이 책은 여러 국가에서 한 지역의 선교사들, 교단의 선교사들이 재정을 함께 마련하고 사역한 사례들이 많다. 이 책은 현장 선교부와 한국교회 그리고 한국의 기업들이 참여하여 만들어낸 한국선교의 작품이라고 평가해도 틀린 말은 아닐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2023년 제1회 M.콘텐츠 서밋은 이상훈 선교사의 헌신과 베트남 선교사들의 섬김, 탁월한 강사들의 나눔, 20여개국 선교사들의 현장 소식, 서밋에 재정적으로 큰 힘이 되어주신 본월드미션... 모두가 원더풀스토리로 모인 한 팀이었다.

셋째, 현장 중심의 이야기들

원더풀스토리 책이 각 나라에서 사용된 사례는 매우 다양했다. 베트남을 시작으로 중국, 몽골, 캄보디아, 태국, 시리아 난민을 거쳐 아프리카까지 원더풀스토리는 세계선교의 현장을 한 눈에 보는 시간이었다. 책이 출판되어 활용되기까지 다양한 사례를 통해 서로 배우고 도전받기도 하였으며, 오후5시 이후 조별모임을 통한 국가와 교단을 초월한 선교사 간의 교제는 선교사들 모두에게 다음을 기대하게 되는 이유가 되기도 하였다.

2024년 제2회 M.콘텐츠 서밋이 기대가 된다.

이번 서밋에서 2024년에도 호치민에서 M.콘텐츠 서밋을 개최한다는 것과 박종암 선교사(베트남 다리놓는사람들)가 제2회 준비위원장으로 섬기기로 결정하였다. 준비위원장으로서 하나님이 시작하신 M.콘텐츠 서밋을 위해 기도하면서 하나님께서 주신 소망은 다음과 같다. 첫째는 선교 콘텐츠 소개되는 “나눔의 장” 둘째는 선교사들이 연합하여 함께 만들어가는 “공유의 장” 세째는 현장 중심의 사역들을 만들어가는 “동역의 장”이 되기를 기도하게 하셨다. 이 3가지는 첫 번째 대회를 통해 주셨던 은혜이며, 계속해서 유지해가야 한다는 생각이이기도 하다.

1년 동안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를 생각해보면서, 몇 가지 기도제목을 나누고자 한다. 첫째는 각 국가에서 원더풀스토리 콘텐츠가 현장사역으로 더 활성화 되는 방안을 위해서.. 둘째는 한국 기독교의 선교 가능한 콘텐츠 수집를 위해서.. 셋째는 KWMA 문화예술실행위원회와 연계된 5개국에 거점 미디어 센터를 통해 선교현장에서 활용되고 있는 콘텐츠 선교의 사례들을 수집, 분석, 정리하는 작업을 위해서..

한국 기독교에는 엄청난 선교 콘텐츠 자산을 가지고 있다. 이 모든 선교 자산들이 타문화권 선교로 활용되어지길 기대해 본다. 코로나 이후 새로운 시대의 선교 혁명의 바람이 느껴진다.
번호 제목 발표자 발표매체
18 CTM-GP 문화예술선교파트너십 세미나 (2023선교한국 후속프로그램) 이창진 2023선교한국 후속프로그램
17 Blossom Street '하나님 나라를 홍대에 꽃 피우자.' 백종범 2023 선교타임즈 9월호
16 유럽에서의 문화예술선교 최병길 2023 선교타임즈 6월호
» 원더풀! 스토리 박종암 2023 선교타임즈 5월호
14 2023 1st M Contents Summit 이야기 이상훈 2023 선교타임즈 5월호
13 일본에서 한국인으로서의 문화 선교 사역 이현욱 2023 선교타임즈 3월호
12 다윗이 이 시대에 브이로그를 한다면? 이창진 2023 선교타임즈 2월호
11 ⑧ 온라인을 활용한 선교사와 자원사역자 네트워킹 이규성 2022 KWMC한인세계선교대회
10 ⑦ 교회가 바라봐야 할 문화/예술 영역의 선교적 기대 [영상] 성보영 2022 KWMC한인세계선교대회
9 ⑥ 거점 미디어선교센터 태국 운영 [영상] 김인호 2022 KWMC한인세계선교대회
8 ⑤ 청년미디어 인턴십을 통한 거점미디어센터 파트너십 [영상] 이창진 2022 KWMC한인세계선교대회
7 ④ 문화예술선교 & 미디어의 타문화권 선교현장이야기 [영상] 박종암 2022 KWMC한인세계선교대회
6 ③ 한국 기독교 음악 현장과 선교적 가능성 [영상] 심도성 2022 KWMC한인세계선교대회
5 ② 한국 찬양사역자들의 사역의 현장 이야기 [영상] 강중현 2022 KWMC한인세계선교대회
4 ① 예배와 문화운동의 예술적 이해와 선교적 제언 [영상] 이유정 2022 KWMA한인세계선교대회
3 새로운 선교전략과 소통 [영상] 이창진 2021 한국선교지도자포럼
2 코로나 이후 문화예술선교 선순환 구조 어떻게 만들 것인가? 박종암 2020 KWMA 문실위
1 문화예술타문화선교의 가능성 이창진 2019 선교타임즈 8월호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