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일
    202306
  • 발표자
    최병길
  • 발표매체
    2023 선교타임즈 6월호
유럽에서의 문화예술선교
 
최병길 선교사
프랑스 선교사 (GP선교회,CTM선교회 파송)
마임이스트

 


유럽에서의 선교
선교계에서 조차 오랫동안 유럽을 선교지로 여기지 않았습니다. 현 개신교 복음의 발생지이며 다른 나라들에 선교사를 파송했던 유럽에 선교사를 파송한다는 것이 역설적이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십여년 근간에 유럽의 재복음화의 필요성에 대하여 심각하게 고민하며 기도하는 일들이 많았졌고 지금은 많은 사람들이 유럽의 개신교의 현주소를 알게 되었습니다. 한때 카톨릭국가라 여겼던 프랑스의 경우만해도 프랑스 정부가 정치와 종교와의 분리를 선언하였고 대부분 사람들이 무신론자로 돌아섰습니다. 정확하게 통계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자료가 많지 않으나 유럽의 대부분 국가들이 1~ 2% 미만의 개신교율입니다.

유럽의 교회는 노령화되었고 프랑스의 경우 파리와 대도시를 제외하고 많은 곳이 교회가 없거나 목회자가 없는 교회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러나 펜데믹이후 삶을 진지하게 돌아보는 사람들이 많아지기 시작하였고 지금도 곳곳에서 복음의 열정을 가진 프랑스 인들이 거리로 나와 복음을 전하고 있기에 아직도 희망은 있습니다. 어쩌면 지금이야말로 이 낮아진 마음을 가진 영혼들에게 복음을 들고 나설때가 아닌가 싶습니다.

유럽에서의 문화예술선교의 필요성
유럽이 예술의 중심지라고 자부하는 유럽인들에게는 예술이 삶의 중심에 있습니다. 그래서 복음을 가지고 다가가면 외면하던 이들이 예술로 접근하였을 때는 마음의 문을 활짝 열어줍니다. 예를 들어 한 미술인 선교사께서 프랑스 시골교회에 그림을 전시하고 사람들을 초청하자 평생 교회를 거들떠도 보지 않으시던 노부부가 양복을 곱게 차려 입고 손을 잡고 그림을 보려고 교회에 나오셨습니다. 물론 이것이 전도로 연결되기까지 오랜 노력이 필요하지만 평생 교회 문턱을 밟지 않던 사람들을 교회와 접촉점을 가질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예술 선교는 큰 도구로 사용되어 질 수 있다고 봅니다.

특별히 요즘 들어 유럽에서의 한국문화의 인기는 놀랍습니다. 제가 독일이나 프랑스 공항에 가면 심사국 직원이나 항공사직원이 한국어 인사 한두마디정도 자연스럽게 말할 정도입니다. 한류가 그저 10대들이 K-POP이나 K-Drama를 좋아해서 처음 시작되었다면 이제는 남녀노소 막론하고 한국어부터 한국예술문화 전반에 대하여 진지하게 관심을 가지며 한국이라고 하면 마음의 문을 열고 다가옵니다. 한국인 선교사로서 지금 이 때에 한국의 여러 예술문화를 복음을 전하는 통로로 사용한다면 유럽인들의 마음의 문을 두드리는 좋은 선교의 도구가 될것입니다.
 

01.jpg

02.jpg


실제적 사례
저는 연극영화를 전공하고 문화예술사역자로 한국에서 수년간 사역해왔습니다. 그러던중 선교에 대한 마음을 주셔서 여러 나라들에 단기선교를 다녔고 그때마다 문화예술이 큰 선교의 도구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선교의 도구로 마임을 사용하기위해 2002년에는 프랑스에서 유학하며 마임을 공부하게 되었습니다. 그 후에 한국에 돌아와 기독교극단에서 활동하다가 신학을 마치고 2012년 다시 프랑스선교사로 부름받게 되었습니다. 그 때 제가 선교의 첫 접촉점으로 찾은 것이 복음뮤지컬이었습니다. « 죽임당하신 어린양 »이라는 액츠 뮤지컬 선교단의 작품을 프랑스어로 프랑스 현지 청소년들에게 이양하게 되었습니다. 이 때 이 청소년들이 복음뮤지컬을 통하여 예수님이 성경속의 나오는 인물이 아닌 삶속에 경험되어지는 일이 일어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부모님에 의한 믿음이 아닌 개인적인 믿음으로 받아드리고 헌신하게 되는 놀라운 일이 일어났습니다. 그 때 만난 청소년들이 지금 그 중 누구는 CCM가수로 또 누구는 교회의 리더가 되어 사역하고 있습니다. 2022년 10년이 지난 지금 이 뮤지컬 사역 (특별히 청소년 캠프사역)은 이제 주변 유럽국가들 (마케도니아, 이태리, 포르투칼등)로 지경을 넓혀가고 있습니다.
 

03.jpg

04.jpg

05.jpg

06.jpg


저는 2013년 이후에는 북프랑스 작은 도시의 현지 프랑스교회에 정착하여 사역하게 되었습니다. 매년 여름에는 시청에서 주관하는 2달간의 행사에 청년들과 함께 자원봉사로 참여하여 마임과 태권도, 플래시몹, 부채춤, 여러가지 다양한 활동을 통하여 아이들과 부모들을 만났습니다. 대부분의 아이들이 깨어진 가정과 생활고로 인하여 부모로부터 사랑받지 못하였는데 여러가지 문화활동을 통하여 기쁨을 누릴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단순히 문화활동 뿐만 아니라 아이들에게 얼마나 사랑스런 존재인지 말하여 줬을 때 굳었던 아이들의 표정이 바뀌고 변화된 아이들로 인해 부모들도 역시 호의적이 되었습니다. 이러한 청년들의 좋은 영향력은 지역주민들과 시청에 교회에 대한 좋은 인상을 주었고 지속적인 관계를 맺을 수 있는 길들을 열었습니다.
 

07.jpg

08.jpg


이 외에도 시청문화센타와 연계하여 저소득층 아이들에게 문화활동으로 마임과 뮤지컬을 정기적으로 가르치며 관계를 쌓고 교회 크리스마스 행사에도 초청하여 복음을 들을 수 있는 계기를 만들었고 개인적으로는 마임콘서트를 개최하여 지역주민들을 초청하여 공연을 통하여 관계를 열기도 하고 지역교회들이나 선교사님들의 전도행사에 참여하여 협력사역을 하기도 하였습니다.
 

09.jpg

10.jpg


현지와의 협력과 앞으로의 계획
프랑스에서 현지교회와 함께 사역하거나 현지 사역자들과 깊은 관계를 가진 다는 것은 사실상 쉽지 않은 일입니다. 왜냐하면 그만큼 언어와 문화의 장벽이 높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감사하게도 저는 이미 20년 넘게 프랑스에서 생활해 온 아내가 있었고 또 현지에서 오랫동안 현지인들과 접촉하고 목회자들과 관계해오신 선배 선교사님들이 계셨기에 쉽게 현지교회와 선교현장에 깊게 들어갈 수 있었습니다. 덕분에 지금은 유럽 현지 사역자들과 교제하고 그 들의 사역을 원활하게 도우며 사역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예술선교가 자칫 접촉접만 만드는 일에 그칠 수 있기에 현지 교회들과 깊은 동역의 관계를 맺어 접촉한 사람들이 교회에 나올수 있도록까지 연결하는 일이 매우 중요한 일입니다. 저의 주 사역은 현지 교회들이 전도할때 문화예술들을 통해 복음에 잘 접목될 수 있도록 돕는 일입니다. 예를 들어 마임을 통한 복음전도세미나를 열어 강습하는 일과 현지교회나 사역자들이 거리전도나 전도행사를 개최할 경우에 돕는일을 하고 있습니다. 지금은 밀라노 현지 파트너쉽인 이태리선교단체(REM : 대표 살바토레)와 함께 예술선교학교를 준비중에 있습니다. 이 예술선교학교를 통해 유럽의 예술인들이 선교사적 가치관을 가지고 세상에서 살아갈 수 있도록 돕고 또한 예술적 달란트를 가진 사역자들에겐 전도를 위한 컨텐츠를 개발하는 일을 도우려고 합니다.

무엇보다 예술이라는 도구가 하나님과의 친밀한 관계속에서 나오는 풍성하고 깊은 사랑으로 채워져서 만나는 누구에게나 그 진정한 사랑의 주인이신 하나님에게 한걸음 다가가게하는 도구로 사용되어지길 간절히 원합니다.
 

11.jpg

12.jpg

번호 제목 발표자 발표매체
18 CTM-GP 문화예술선교파트너십 세미나 (2023선교한국 후속프로그램) 이창진 2023선교한국 후속프로그램
17 Blossom Street '하나님 나라를 홍대에 꽃 피우자.' 백종범 2023 선교타임즈 9월호
» 유럽에서의 문화예술선교 최병길 2023 선교타임즈 6월호
15 원더풀! 스토리 박종암 2023 선교타임즈 5월호
14 2023 1st M Contents Summit 이야기 이상훈 2023 선교타임즈 5월호
13 일본에서 한국인으로서의 문화 선교 사역 이현욱 2023 선교타임즈 3월호
12 다윗이 이 시대에 브이로그를 한다면? 이창진 2023 선교타임즈 2월호
11 ⑧ 온라인을 활용한 선교사와 자원사역자 네트워킹 이규성 2022 KWMC한인세계선교대회
10 ⑦ 교회가 바라봐야 할 문화/예술 영역의 선교적 기대 [영상] 성보영 2022 KWMC한인세계선교대회
9 ⑥ 거점 미디어선교센터 태국 운영 [영상] 김인호 2022 KWMC한인세계선교대회
8 ⑤ 청년미디어 인턴십을 통한 거점미디어센터 파트너십 [영상] 이창진 2022 KWMC한인세계선교대회
7 ④ 문화예술선교 & 미디어의 타문화권 선교현장이야기 [영상] 박종암 2022 KWMC한인세계선교대회
6 ③ 한국 기독교 음악 현장과 선교적 가능성 [영상] 심도성 2022 KWMC한인세계선교대회
5 ② 한국 찬양사역자들의 사역의 현장 이야기 [영상] 강중현 2022 KWMC한인세계선교대회
4 ① 예배와 문화운동의 예술적 이해와 선교적 제언 [영상] 이유정 2022 KWMA한인세계선교대회
3 새로운 선교전략과 소통 [영상] 이창진 2021 한국선교지도자포럼
2 코로나 이후 문화예술선교 선순환 구조 어떻게 만들 것인가? 박종암 2020 KWMA 문실위
1 문화예술타문화선교의 가능성 이창진 2019 선교타임즈 8월호
  • 1